Hk(High Kick) Marketing Agency - Hk(High Kick) News
부산 원도심에 넓게 펼쳐진 친수공간 북항 재개발지역. 시민의 품으로 되돌아온 이곳은 아직 미완성인 까닭에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다. 더불어 이곳은 정부가 유치를 추진 중인 2030년 부산 월드엑스포(세계박람회) 개최 무대이기도 하다. 세계인의 시선이 집중될 북항 재개발지역을 어떻게 꾸미느냐에 따라 부산의 가치는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글로벌 관광산업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북항 재개발지역의 운명을 좌우할 결정적 요소가 쉽게 포착된다. 바로 복합리조트(IR)이다.
수익성 높은 카지노 시설 바탕으로 공공성 큰 관광·문화시설 함께 조성 ‘亞 대표’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카지노는 일부, 공연장·미술관 등 운영 日 ‘복합리조트 추진법’ 제정 등 속도 리조트 건설 땐 내국인 760만 명 이탈 연간 누출액 2조 5840억 원 분석도
■세계는 복합리조트 전쟁 중
눈부시게 성장하는 싱가포르와 마카오에서 교훈을 얻은 세계 각국이 복합리조트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아시아로 무대를 좁혀 보면 일본이 우리보다 먼저 그 필요성에 눈을 뜨고 복합리조트를 향해 급히 달려가고 있다. 일본은 2016년 이른바 ‘복합리조트 추진법’을 제정하고, 이듬해 추진본부를 출범시켰다. 아베 신조 총리가 본부장이고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부본부장이다. 복합리조트 조성을 범국가적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뜻이다. 일본 정부는 오사카, 요코하마, 나가사키 등에 복합리조트 허가를 추진하고 있다. 개장 목표는 2025년께다.
부산과 가까운 러시아 블라디스크토크 인근 엔터테인먼트 특별지구에서도 복합리조트가 추진되고 있다. 필리핀은 마닐라에 이미 4곳의 복합리조트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대만 등도 복합리조트 조성에 적극적이다. 이들 모두 내국인이 출입가능한 오픈 카지노가 전제다. 세계 각국이 복합리조트를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정하며 전향적인 태도로 돌아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예외다. 외국인전용 카지노만 허용하는 현행 법규로 인해 오픈 카지노형 복합리조트 진출이 불가능하다.
■안정적 수익으로 북항 관광마이스 견인
복합리조트는 현대 관광마이스 산업 핵심 인프라로 일컬어진다. 관광마이스 분야 활성화를 위해 없어선 안 되는 필수 시설이라는 뜻이다. 북항 재개발지역은 글로벌 복합리조트 자본이 먼저 눈독들이는 복합리조트 ‘적합지’이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지난해 복합리조트 유치를 공식 선언했다. 내국인 도박중독 방지 방안 등을 연구해 오픈 카지노형 복합리조트 조성을 반드시 성사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부산시도 법규의 한계를 탓하고 있지만 원론적으로는 복합리조트 파급효과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복합리조트를 단순한 카지노산업으로 인식해선 곤란하다. 고수익 시설인 카지노를 바탕으로 공공성 높은 관광·문화시설을 함께 조성하는 복합 개발을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아시아 대표적 복합리조트로 부상한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의 경우 카지노 시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러나 리조트에 딸린 컨벤션센터, 미술관, 뮤지컬공연장, 이벤트광장, 쇼핑센터 등의 매머드급 문화·관광 콤플렉스는 ‘일부 시설’인 카지노 덕에 원활히 가동될 수 있다.
일본도 복합리조트 관련 법률에서 카지노 구역을 전체 개발면적의 3% 미만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필수포함시설로 대형 마이스시설, 극장, 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등 관광시설과 연면적 10만㎡ 이상 규모의 호텔을 함께 개발해야 한다고 못 박아 두고 있다.
복합리조트가 갖춘 다양한 관광인프라는 도박꾼보다 보통의 관광객을 훨씬 많이 끌어모은다. 싱가포르 등의 사례에서 확인했듯이 도시를 관광지로 급부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여전히 열린 공간으로 남아 있는 북항 재개발지역은 마이스 중심의 복합리조트 적격지로 평가된다.
부산이 미적거리면 벌써 팔을 걷어붙인 일본이 과실을 독차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일본 복합리조트가 개장하면 국내 내국인 이탈 수와 누출액이 연간 약 760만 명, 2조 5840억 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있다. 국내 외국인 전용카지노 고객의 70%를 차지하는 중국인, 일본인의 상당수가 일본으로 발길을 돌릴 수도 있다. 윤태환 동의대 호텔컨벤션경영학과 교수는 “복합리조트는 카지노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카지노 시설과는 달리 일반 레저 관광객 흡인력이 높아 관련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면서 “북항 재개발지역을 복합리조트를 기반으로 한 고부가가치 체류형 관광 클러스터로 정착시키면 부산의 도시 브랜드 가치도 함께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